본문 바로가기
경제

독점자본주의

by Angly 2023. 7. 4.

오늘은 독점자본주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독점자본주의란?

독점자본주의는 마르크스 경제학에서 자본주의의 발전 단계 중 하나를 의미합니다. 이 이론은 독점자본주의의 발전과정, 특징, 그리고 관련된 개념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독점자본주의는 자유경쟁의 결과로 독점이 형성되는 경향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독점자본주의의 개념은 1920년 블라디미르 레닌에 의해 공식화되었습니다,

 

레닌에 따르면 독점자본주의는 산업자본과 은행 자본의 독점이 진행되며, 양자의 유착된 독점 금융 자본이 지배적인 경제주체가 되는 자본주의의 특수한 발전 단계입니다. 이러한 독점자본주의는 국가와 독점자본이 결부되어 자본주의의 유지를 꾀하는 국가 독점자본주의로 발전할 수도 있습니다. 독점자본주의에서는 "생산의 사회적 성격""취득의 사적 성격"이 대립하여 자본주의의 모순이 격렬해집니다.

 

○독점자본주의의 유래

독점자본주의는 19세기의 자유경쟁 단계에서 발전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생산의 집적과 집중이 일어나며, 독점자본의 집적과 집중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1]. 이론적으로 독점자본주의는 마르크스주의의 발전된 형태로 볼 수 있으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마르크스주의의 기본 전제와 연결하여 이해해야 합니다 .

 

독점자본주의 이론은 네오 마르크스주의 계통의 이론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이 이론은 공산주의자들이 파시즘에 대해 내린 정의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습니다. 파시즘은 사회주의 세력의 약진에 대항하고, 낮아진 이윤율을 극복하기 위한 자본가 계급의 가장 극단적인 결과로 설명되는데, 독점자본주의 이론은 이와 관련하여 파시즘을 분석하고 해석합니다.

 

○독점자본주의는 어떤 이론인가?

독점자본주의 이론은 마르크스주의의 개념과 네오 마르크스주의의 발전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자본주의 체제에서 독점이 형성되는 경향을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 중 하나입니다.

○독점자본주의의 사례

스탠더드 오일(Standard Oil): 스탠더드 오일은 미국의 독점적인 석유 회사로, D. 록펠러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스탠더드 오일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미국의 석유 산업을 지배했으며, 경제적으로 막대한 권력과 영향력을 갖고 있었습니다. 이 회사는 경쟁사들을 인수하거나 제품 가격을 조작함으로써 독점을 확립했습니다. 스탠더드 오일의 독점적인 지배는 후에 반독점 법률과 이에 따른 법적 조치를 통해 분해되었습니다.

 

벨 시스템(AT&T): 벨 시스템은 미국의 전화 통신 기업으로,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미국의 전화 통신 시장을 독점적으로 지배했습니다. 벨 시스템은 전화망의 건설과 운영을 독점하여 다른 통신 기업들의 진입을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독점 상태는 경제적인 이익과 통신 기술의 발전을 동시에 가져왔지만, 후에 벨 시스템은 독점 체제로서의 부당한 힘을 남용한다는 이유로 분해되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마이크로소프트는 미국의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20세기 말부터 21세기 초까지 개인용 컴퓨터 운영 체제와 오피스 소프트웨어 등을 독점적으로 공급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운영 체제와 오피스 소프트웨어는 시장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여 경쟁 업체들에게 진입 장벽을 높이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소프트는 독점 부당행위로 비판을 받고, 여러 법적인 조치를 받았으며, 후에는 경쟁 체제를 인정하고 개방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채택하였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니계수  (0) 2023.07.06
수정자본주의  (0) 2023.07.04
보이지 않는 손  (0) 2023.07.03
스태그플레이션  (0) 2023.07.03
인플레이션  (0) 2023.07.02